본문 바로가기
취미&일지/애드센스&재테크

렌딧의 투자기준 정하기(추천인 378370)

by 김알멩 2017. 12. 14.
반응형

투자기준을 어떻게 잡아야할지 고민이 많았어요.

저는 아직 투자에 대한 정보도 없고 그렇거든요.


그래서 다른 분들은 어떤 투자 기준을 갖고 계신가 궁금했어요.

열심히 돌아다니면서 투자기준을 잡기 위해서 노력 중입니다.ㅠㅠ

1. 대출기간

솔직히 36개월 너무 깁니다. 짧은 것 위주로 보려고 합니다.

(개인적인 생각)

2. 나이스 신용평점 추이

등락이 많거나 하락하는 분은 피합니다..

3. 1년간 단기연체횟수

연체 없는 분만!


4. 재직기간

짧은 분보단 긴분 위주

5. 월소득과 부채비율(DTI)

요 아래 그림에 총 부채액을 보실 수 있는데, 총부채/월소득으로 해서 낮을수록 선호

DTI의 %가 최대 40%

낮을수록 선호.

6. 직종은 사업자는 피합니다.(한방의 확률이ㅠㅠ)

왠만하면 직장인을 선호.

7. 저축은행/캐피탈 등 대출 이력

1금융권이 아닌 곳에서 대출액이 높은 분은 피하고 있어요.

8. 카드사용액

카드사용액이 낮은 분 선호.

9. 너무 높은 금리는 피하기

금리가 높은게 좋지만 높은 것에는 이유가 있겠죠ㅎㅎ

금리가 너무 높은데? 싶으면 꼭 그 분들의 이력을 확인하세요.


하다보니 기준이 많이 까다로워졌네요.

그래도 회수하지 못하는 것보단 까다운게 낫겠죠:)

완벽하게 지키지는 못할 것 같지만 그래도 최대한 기준에 맞춰서 투자해보겠습니다.


+

2018.01.01 수정

반응형

댓글